공항 이야기240 영종·용유도 명산 4개 삼켜버린 인천공항 인천공항이 또 삼목1도 석산 개발로 시끄럽다. 삼목석산은 10년전에도 골재 채취를 위해 개발하려 했으나 인근 공항신도시 주민들의 반대로 무산됐다. 그러나 당시에는 석산을 개발해 골재를 공항 건설이 아닌 외부로 반출하려했으나 이번엔 인천공항 4단계 조성사업에 사용될 예정이어서 그때와는 사정이 좀 다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제4활주로와 항공정비단지(MRO), 계류장 등 인천공항 4단계 건설을 위해 인천공항 북측 삼목석산 29만㎡에서 골재 채취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삼목석산은 2001년 개항한 인천공항 건설을 위해 토석을 채취한 뒤 20여년 정도 방치된 곳이다. 삼목석산 개발 계획 높이 40∼50m의 삼목석산은 2025년쯤 자유무역지역에 건설될 인천공항 제5활주로 때문이라도 절토돼야 한다. 활주로 주변은 안전.. 2018. 8. 29. 폐쇄공간으로 변해 가는 인천공항 지난 1월 제2여객터미널이 개장함에 따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이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에 착수한다. 2001년 개항 이후 17년간 6억 명 이상이 이용한 만큼 낡은 시설은 개선하고 출·입국장도 새 단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현재 서편에 있는 아시아나항공 체크인카운터와 항공사 라운지도 대한항공이 있던 동측으로 10월부터 이전한다. 개항 때부터 동측을 고수해 대한항공과 다툼까지 벌였지만 결국 뺏앗기고 밀려났던 아시아나항공이 17년만에 원하던 자리를 차지한 셈이 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제1터미널과 탑승동을 사용하는 아시아나항공과 저비용항공사, 외국항공사 등의 체크인 카운터와 라운지 재배치를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새롭게 단장될 인천공항 제1터미널 출국장 조감도 또한 출·입국장을 포함해 수하물 수취지.. 2018. 8. 1. 인천공항 안내 로봇 ‘에어스타’의 운명 “에어스타(AirStar)’, 타이페이 가는 항공편은 어디에서 체크인 해?” “네, 타이페이 가는 항공편은 L카운터입니다. 저를 따라오시면 카운터까지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영화 속에서나 볼 수 있었던 미래의 모습인 사람과 로봇이 대화하고, 로봇이 안내 및 에스코트를 하는 장면이 인천공항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인천공항 안내 로봇인 ‘에어스타’가 7월21일 인천공항 제1·2여객터미널에 배치됐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배치된 안내 로봇을 어린이들이 신기한 듯 살펴보고 있다 자율주행과 음성인식, 인공지능 등 각종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이 접목된 로봇이 공항 현장에 배치되는 것은 전 세계 공항에서 처음이다. 높이 1.6m에 135㎏인 에어스타는 혼자 돌아다니면서 장애물을 피해갈 수 있는 자율주행과 한국어·영어·.. 2018. 7. 22. 중동에 ‘제2의 인천공항’ 운영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중동에 제2의 인천공항을 운영한다. 인천공항공사가 공항을 직접 건설하지는 않았지만 인천공항 운영 노하우를 접목해 쿠웨이트 제4터미널을 인천공항처럼 직접 운영하는 것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 4월 위탁운영사업으로 수주한 쿠웨이트국제공항 제4터미널의 운영 준비와 시험운영에 착수했다. 사막위에 지어진 쿠웨이트 제4터미널은 8월8일 개장할 예정이다. 쿠웨이트 정부가 지분 100%를 소유한 쿠웨이트공항은 지난해 1200만 명이 이용했다. 쿠웨이트는 늘어나는 항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연간 450만 명이 이용할 수 있는 제4터미널을 지었다. 공항공사는 지난 4월 제4터미널 운영사업자 입찰에서 샤를 드골공항을 운영하는 프랑스 ADP와 프랑크푸르트공항을 운영하는 독일 프라포트(Fraport) 등 세계 .. 2018. 7. 8. 이전 1 ··· 28 29 30 31 32 33 34 ··· 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