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3 깡통집 지은 사람들 진짜 빈 깡통 찬다 인천경제자유구역 중 한 곳인 영종계획 미수립지(영종미개발지역)와 인천공항 여객터미널과 활주로가 12월 28일 해제됐다. 인천공항의 자유무역지역과 국제업무지역(IBC-II) 등 개발지역은 그대로 경제자유구역에 포함됐다. 문제는 영종미개발지역(11.8㎦·350만평)이다. 지난 2003년 8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이곳은 그동안 인천경제청이 송도와 청라, 영종하늘도시 개발에 치우쳐 사실상 개발에서 제외된 곳이다. 지식경제부가 영종미개발지역을 경제자유구역에서 해제한 주된 이유 중 깡통집들이다. 깡통집들에 대해 보상을 해 주고 개발한다는 것은 수익성이 전혀 없기 때문이다. 경제청은 이곳에 2417건에 대해 건축허가를 해 줬다. 깡통집들은 보상을 노리고 우후죽순 집을 지었으며 빨리 이곳이 개발되기만 기다렸다. 하.. 2010. 12. 28. 인천공항 광고 수주전 치열 인천국제공항 광고시장을 놓고 업체들간 물밑경쟁이 치열하다. 하루 10만명이 입출국하는 인천공항은 광고 효과가 좋아 대기업 등에서 선호도가 매우 높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불린다. 22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인천공항 여객터미널과 탑승동의 전체 광고는 광고대행업체인 (주)전홍이 맡고 있다. 지난 2006년 공항공사와 위탁계약을 체결한 전홍은 2011년 3월 계약이 종료된다. 전홍은 공항공사에 5년간 743억원에 주기로 하고 입찰을 따냈다. 여객터미널은 지난 2006년부터 5년간 696억, 탑승동은 2008년부터 3년간 47억7000만원이다. 현재 인천공항 여객터미널에는 TV와 대·소형 등 광고판이 330개 이른다. 소위 목 좋은 대형 라이트 광고판은 월 광고료가 2500∼3000만원에 이른다. 인천공항.. 2010. 12. 22. 인천공항에 개봉작 볼 수 있는 영화관 생긴다 인천공항에 개봉작을 바로 볼 수 있는 영화관과 실내 스케이트장이 생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그동안 여객 위주로 구성됐던 공항의 쇼핑시설을 공항 방문객과 지역주민, 연인, 가족들이 함께 즐기고 추억을 남길 수 있도록 여객터미널과 붙어 있는 교통센터에 복합쇼핑문화공간을 개발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 2001년 인천공항 개항과 함께 문을 연 교통센터는 이용객이 없어 사실상 방치됐지만 공항철도가 개통되면서 차츰 수요가 되살아났다. 특히 12월 29일 서울역∼인천공항까지 완전 개통하는 코레일공항철도의 종착역으로 활성화가 기대되는 곳이다. 공항공사는 이곳에 CGV 영화관 2개관(229석)과 함께 공연문화체험시설에 실내 스케이장을 내년 3월 오픈한다. 이와 함께 IT 및 미디어관련 전시를 할 수 있는 미디어갤.. 2010. 12. 21. 전쟁나도 인천공항이 가장 안전하다 연평도 포격훈련으로 한국이 떠들석하다. 북한이 또 도발할 가능성이 있지 않느냐는 것이다. 포 사격훈련으로 남북과 접경지역인 서해 5도(백령도, 대·소청도, 연평도, 우도)와 김포, 강화도 등 인천지역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 일부 언론은 우리 나라의 대표시설인 인천국제공항을 북한이 포격하지 않을까하는 우려도 쏟아내고 있다. 하지만 인천공항에 근무하는 공항사람들은 ‘인천공항이 가장 안전하다’고 말한다. 20일 오전 짙은 안개 등으로 김포공항으로 대체발령이 났을때 공항의 운영시스템을 모르는 사람들은 북한의 포격이 우려돼 김포공항으로 옮긴것 아니냐는 말이 흘러 나왔다. 이는 아니다. 인천공항이 안개 등으로 항공기 이착륙이 어려울땐 주변 공항을 물색해 대체공항으로 이용한다. 실제 북한이 공격을 하더라도 인천공.. 2010. 12. 20. 이전 1 ··· 70 71 72 73 74 75 76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