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항 이야기

롯데·인천공항 ‘해법 없는 협상’

by terryus 2017. 9. 24.

 요즘 인천공항에 커다란 이슈 3개가 굴러가고 있다. 비정규직 아웃소싱 노동자의 정규화와 내년 1월 제2여객터미널의 성공적인 개장이다.
 이 두 개의 이슈에다 새롭게 떠오른 것이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롯데면세점의 인천공항 철수설이다.
 한 때 황금알을 낳은 거위로 불렸지만 정부가 시내 면세점 설립을 남발하는 등 면세정책 실패에다 사드 까지 겹쳐 면세점들은 임금 인하 등 구조조정에다 ‘죽을 맛’이다.
 롯데면세점이 인천공항 임대료 임대료 때문에 철수까지 검토하는 등 ‘으름장’을 놓자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롯데면세점이 이번 주 임원과 실무자 등 3대 3 협상을 진행한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모습
 롯데는 인천공항에서 영업이 좋든, 나쁘던 최소 보장액으로 정액의 임대료를 고정 지급해 부담이 크다며 영업실적과 비례하여 임대료가 결정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최소보장액을 폐지하고 품목별 영업료율에 따라 금액을 책정하는 방식으로 인천공항 임대료 구조를 이 참에 바꾸자는 것이다.
 인천공항 임대료를 터무니 없이 높게 써 낸 롯데가 매출에 따라 임대료를 내자는 주장은 한편으론 보편 타당성이 있다. 사드 직격탄을 맞은 현재로서는 롯데가 인천공항에 낼 임대료는 감당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롯데는 2015년 인천공항 제3기 면세점 입찰에서 임대료로 5년간 무려 4조1400억 원을 써서 낙찰됐다. 신라도 5년간 1조4930억 원, 신세계도 4330억 원이다.
 2016년 롯데면세점이 운영하는 인천공항 4개 사업장 전체 매출은 1조1455억원이다. 이 중 39.4%를 임대료로 냈다. 신라도 6969억 원 중 37.9%인 2638억 원, 신세계는 2001억 원 중 37.1%인 742억 원이다.
 중소·중견기업인 SM면세점은 908억 원 중 26.1%인 237억 원, 시티플러스는 684억 원 중 28.1%인 193억원, 삼익면세점은 530억 원 중 39.6%인 210억 원, 엔타스면세점은 391억 원 중 30.2%인 118억 원이다.
 직원들을 고용해 면세품을 팔아 얻은 수익 모두를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임대료로 갖다 바친 셈이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3층 출국장

 롯데는 어떻게든 버티려 했지만 사드에다 시내 면세점이 거의 개점 휴업 상태이기 때문에 도저히 힘들다며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임대료 조정을 요구한 것이다.
 롯데는 인천국제공항공사에 최소보장액 등을 포함한 임대료로 첫해(2015∼2016년)와 지난해는 5000여억원을 냈다.
 그러나 3년차 부터는 전년보다 무려 50%가 높은 7740억 원으로 껑충 뛴다. 또 2018년에도 전년보다 50%가 많은 1조16160억 원이다. 마지막 해에는 1% 늘어난 1조1840억원이다.
 신라와 신세계는 매년 3∼5%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임대료도 이와 비슷하게 증가하도록 했다.
 그런데 롯데는 유독 3년차와 4년차 때는 임대료를 전년보다 무려 50%씩 높게 썼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 롯데에 많은 의구심을 갖고 있다.
 인천공항의 한 면세점 관계자는 “2015년 입찰 때는 인천공항 입점을 위해 면세점 업체들이 무한 경쟁을 벌였으며, 롯데는 좋은 사업권을 쟁취하기 위해 앞·뒤 가리지 않고 무리하게 입찰가를 썼다”고 말했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3층 면세구역

 또 다른 관계자는 “롯데가 입찰가를 높게 쓴 것은 제1여객터미널과 내년 1월 개장할 제2여객터미널에 면세점 입찰권을 모두 따 낸 이후, 제1여객터미널은 경영 적자 때문에 면세점을 운영할 수 없다며 반납이나 철수를 위한 명분 쌓기로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2015년 입찰 때는 사드와 시내 면세점 남발 등의 문제가 불거지지 않았다. 롯데는 제1여객터미널 면세점 운영권을 높은 입찰가로 우선 따 놓고, 운영하다 안되면 버리기 위한 카드였다는 설명이다.
 롯데는 제2여객터미널에도 면세 사업권을 땄다.
 롯데는 자신들이 입찰가를 높게 쓴 것은 인정, 반성도 하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롯데는 다만 2001년 인천공항 개항 때부터 면세점을 운영한 만큼 어려울 때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도와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롯데는 인천공항 제1기(2001~2008)에 5000억 원, 제2기(2008~2015)에 2조 원, 제3기(2015~2000) 4조 원 등 인천공항에 7조 원의 임대료를 낸다.
 롯데는 사실상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과 제2여객터미널을 자신들의 임대료로 지은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항변한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해 2조 원의 매출에 8000억 원의 흑자를 내고, 직원 전체 평균 연봉이 8900만 원 으로 공기업 중 최고를 받은 것은 면세점과 상업시설 등에서 걷은 임대료 때문이라는 말은 맞다.
 그러나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롯데와의 협상에서 ‘이 핑계, 저 핑계’로 임대료 조정은 어렵다는 입장에다 시간끌기만 할 가능성이 높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3층 면세구역을 외국인들이 걸어가고 있다

 우선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면세사업자 공개 입찰에서 롯데는 공항공사가 제시한 금액보다 145% 높게 썼기 때문에 임대료 인하는 어렵다는게 기본 원칙이다.
 롯데의 요구대로 임대료 구조를 변경할 경우 현재 롯데가 내고 있는 임대료의 60% 깎아 줘야 한다. 또한 인천공항의 수익구조를 송두리째 바꿔야 한다. 롯데의 요구를 일부 수용한다 하더라도 그동안의 행태를 보면 용역을 의뢰하고 결과가 나와야 하고, 향후 배임 혐의 등 책임 소재가 있어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정부에 미룰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면세점과 항공사, 상업시설 등에 일괄적으로 임대료 10%(1300억 원)을 감액해 줬다가 국세청이 고의 매출 축소로 간주해 법인세 379억 원을 추징당해 현재까지도 조세심판원에서 조세불복 절차가 진행중이다.
 롯데의 요구대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임대료 일부 감면을 해 준 다면 그건 아마도 조세불복 소송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승소하면 가능할 것이다.
 특히 롯데만이 아니라 이미 삼익악기 면세점은 중소·중견기업의 업종이 아니라며 면세점 운영을 포기할 각오로 인천국제공항공사를 상대로 변호사 비용 2억원을 들여 면세점 임대료 30% 감액 청구소송까지 제기했다.
 다른 면세점은 물론 상업시설과 은행들도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롯데와의 협상에 촉각을 곤두 세우고 있다.

 이 밖에도 사드 충격에도 올 1월부터 8월까지 인천공항의 면세점 매출은 13억2700만 달러(1조5000억 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제선출발여객도 2032만 명으로 7.3% 늘었다. 이뿐만이 아니다. 인천공항에 입주한 7개 면세점 중 롯데의 매출 감소는 2% 정도이다. 다른 면세점들은 매출이 3∼10% 늘었다.

롯데에 임대료를 조정해 줄 수 있는 명분이 거의 없다. 인천국제공항공사도 난감한 상황이다.
 제1기 면세점 사업에서 임대료를 높게 썼다가 보증금을 날리고 인천공항에 인접하지 않았던 신라면세점이 그 당시에는 놀림감이 됐지만 지금와서는 “현명했다”는 말이 다시 나오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