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05 인천공항 면세점들 적자에 '철수설' 인천공항에 입점해 있는 면세점들이 월 최대 100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철수론’이 나오자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초긴장하고 있다. 인천공항 입점 면세점들이 납부하는 임대료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전체 매출의 40%를 차지하고 있다. 앞서 2018년 높은 임대료를 견디지 못한 롯데면세점이 철수한 전례도 있다.인천공항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인천공항에 입점한 면세점들은 인천공항과 시내면세점 등에서 신라는 387억원, 신세계 162억원, 현대 8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4분기에도 월 80억~100억원의 적자가 예상된다.면세점들은 올해 적자는 어떻게든 버틸 수 있지만 내년에는 연간 1000억원 이상의 적자가 예상되는 등 한계에 봉착, 면세사업을 접을 수도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A면세점은 이미 적자 누.. 2024. 12. 16. 인천공항 BMW 드라이빙센터 존폐 위기 인천공항에 있는 BMW 드라이빙센터가 존폐 위기에 놓였다.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25년 12월 31일 계약이 종료되는 인천공항 BMW 드라이빙센터를 철거할지, 후속 사업자를 공모할지를 내년 상반기에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인천공항 고속도로 신불IC 인근 유휴지 29만1802㎡에 조성된 BMW 드라이빙센터는 2014년 문을 연 국내 첫 자동차 복합 테마파크이다. BMW 코리아가 635억원을 들여 전시홍보관과 직접 차량을 운전할 수 있는 2.6㎞ 드라이빙 트랙 등을 갖췄다. 매년 10만명 이상 방문해 누적 방문객은 159만332명에 달한다.인천공항공사 관계자는 “BMW 드라이빙센터 토지를 임대한 스카이72 골프 앤 리조트로부터 2021년 이후 현재까지 임대료을 받지 못하고 있다”며 “내년 말 계약 종료에 맞.. 2024. 11. 26. 인천국제공항공사 퇴직자, 재취업 기관으로 전락한 자회사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사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 자회사에 퇴직자들을 내려보내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과 감사 등이 모두 낙하산으로 임명돼 '못된 것'만 배우는 듯 하다. 자회사 감사 자리는 모두 낙하산으로 임명되고 있다. 애초 60개 용역회사를 자회사로 흡수, 통합하면서 독립적인 경영권과 운영의 효율화를 보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인천공항 정규직화 5년째인 지금, 자회사는 모회사 퇴직자들의 재취업 자리로 전락한 셈이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시설관리, 인천공항운영서비스. 인천국제공항보안 등 3개 자회사에 부사장직을 신설하기로 했다. 부사장은 기존 경영본부장이 겸직한다. 부사장 자리를 신설한 근본적인 이유는 인천공항공사 1급(처장)·2급(부장) 퇴직 예정자들이 본부장은 수평이동한 것 같.. 2024. 11. 19. '합병' 눈치보다 2조4000억 짜리 제2터미널 '놀릴판'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확장 공간이 개장해도 6개월~1년 이상은 빈 공간이 될 전망이다. 2조원이 넘게 투입된 공간이 텅텅 비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으로 확장한 제2여객터미널(T2)을 11월 29일쯤 개장할 예정이다. 그러나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이 늦어지면서 항공사 재배치를 못해 확정 공간은 그냥 놔 둘 가능성이 높다. 2018년 개장한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는 대한항공, 에어프랑스, 델타항공, KLM네달란드 항공, 가루다인도네시아, 사면항공, 중화항공, 진에어 등 대한항공이 주도하는 ‘스카이팀(Skyteam)’ 8개 항공사가 이용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2017년부터 4조8405억원을 들여 제4단계 건설사업을 진행했다. 핵심은 연간 2300만명.. 2024. 10. 20. 이전 1 2 3 4 5 6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