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13 정관장 11개에 '또'…인천공항 면세점들 박터진다 한국의 대표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알려진 ‘정관장’의 인기가 치솟으면서 인천공항 면세점에서도 정관장 유치전이 치열하다. 특히 정관장 매장 위치를 놓고 대기업 면세점과 중소·중견 면세점이 ‘생존권’ 다툼까지 벌어지는 상황까지 벌어지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인천공항에 입점한 면세점 등에 따르면 홍삼정 등 건강기능보조식품을 파는 정관장 매장이 인천공항 면세점에는 모두 11개 있다. 제1여객터미널에는 경복궁 2개를 포함해 신라와 현대백화점, 신세계, 시티플러스가 각각 1개씩 등 모두 6개 있다. 제2여객터미널에도 경북궁과 신라, 신세계, 시티플러스가 각각 1개씩 모두 4개이다. 탑승동에도 신세계가 1곳 운영하고 있다. 오는 11월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마무리되면 제2여객터미널 확장지역에 추가로 1~2개.. 2024. 7. 7. 이학재 사장 "인천공항서 줄서기 최대한 줄이겠다" “다가오는 여름 항공 성수기는 물론 혼잡시간대에도 인천공항 이용객들이 항공사 체크인카운터와 보안검색, 출·입국심사에서 줄서기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취임 1주년을 맞은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6월 25일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탑승권을 꺼내지 않고 안면인식으로 출국장·탑승구를 통과하는 스마트 패스와 스마트 보안검색 등 최첨단 장비는 물론 CIQ(세관·출입국·검역)·항공사와도 협의해 줄 서지 않는 편안한 공항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 사장은 “항공기가 도착하고 첫 여객이 수하물 수취대에 도달하는데 18분 걸리는 반면, 입국장의 첫 수하물은 20분이 지난 뒤에야 나온다”며 “철저한 시설관리와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짐 찾는 대기시간을 단축하겠다”고 밝혔다. 다음은 이 사장과의 일문일답. .. 2024. 6. 28. 적자땐 외면, 흑자 나니 수익 절반 꿀꺽…인천공항 볼멘소리 코로나19 사태로 3년간 1조7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던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지난해 항공 수요 회복으로 흑자를 내자 정부가 배당금으로 46%를 가져간 것으로 확인됐다. 인천공항 직원들은 ‘적자 땐 한 푼도 지원하지 않던 정부가 흑자를 기록하니 다시 배당금만 챙겨간다’며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해 4913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 정부가 배당금으로 지난달 2248억원을 가져갔다고 밝혔다. 인천공항공사는 지난해 면세점·상업시설 임대료 등 비항공수익 1조3521억원(63%)과 항공기 이·착륙료 등 항공수익 7814억원(37%) 등 2조1335억원 매출에 영업이익 5224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실시협약이 종료됐음에도 2년 넘게 무단 점유로 대법원 소송까지 벌였던 스카이72 골프장에서 매년 .. 2024. 6. 13. 인천공항 11월 여객 1억명 시대 연다 인천공항이 오는 11월 여객 1억명 시대를 연다. 연간 1억명을 수용할 수 있는 공항은 아랍에미리트 두바이공항,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제공항에 이어 세계 3번째다. 아시아에서는 처음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2017년 시작된 인천공항 4단계 건설사업이 7년 만에 마무리돼 이달부터 종합 시험운전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종합 시운전은 새로운 시설과 각종 시스템 간의 연계·통합을 점검하고 실제 항공기와 가상 승객을 투입해 공항 운영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과정이다. 공사 측은 시운전을 10월까지 마무리하고, 11~12월쯤 개장할 예정이다. 또 무결점 운영을 위해 10월까지 3827개의 실행과제를 수립, 운영한다. 인천공항은 4조8405억원이 투입된 4단계 건설사업을 통해 제2여객터미널을 확장하고 제4활주로 신.. 2024. 5. 31. 이전 1 ··· 4 5 6 7 8 9 10 ··· 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