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0

역시, 신의 직장 인천공항 임·직원 평균 연봉이 8042만원에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정년이 보장되고, 말단 직원이라도 1년에 수차례 해외에 업무차 나갈 수 있는 직장.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기업인 인천국제공항공사를 두고 하는 말이다. 하늘이 내린 직장답게 이번 신입사원 공채에는 자격증만 있으면 어디든 갈 수 있는 전문가들이 대거 지원했다. 이번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는 로스쿨 출신 변호사도 10여명에 이른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12일부터 일반직 55명(5급)과 고졸 출신 안전보안직 10명 등 신입 공채 74명을 모집하는데 1만1000여명이 지원해 170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대졸 출신을 뽑는 일반직은 경쟁률이 무려 300대 1로 최근 극심한 취업난을 반영하고 있다.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전경 지원자 중에는 올해 첫 배출.. 2012. 10. 30.
선량들 인천공항 검증없는 한탕은 금물 국회 국정감사에서 인천공항이 난타전을 당하고 있다. 잘못된 것은 날카로운 질타로 개선해야 하고 잘한 것은 더욱 열심히 하라고 채찍질 하는 것은 ‘선량’들이할 일이다. 하지만 일부 의원들은 정확한 검증없이 ‘인천공항’과 관련된 비판 자료를 쏟아내고 있다.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기 보단 한탕주의에 급급한 모습도 보인다. 일부 언론은 검증도 없이 받아쓰기에도 바쁜 모습도 보인다(나 역시 그랬을수도 있음) 인천공항 여객터미널 3층 출국장 면세점 전경 모 의원은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롯데와 신라 등 재벌 면세점에 인기 상품을 독점 판매할 수 있도록 특혜를 줬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술과 담배, 화장품과 향수 등 인기 품목은 재벌들에게 주고, 국산품 등 비인기 제품은 공기업인 한국관광공사에 줘 재벌들에게만 알짜 상품 독점.. 2012. 10. 17.
인천공항 면세점 민영화가 맞나(?) 민영화(民營化·정부에서 운영하던 기업 따위를 민간인이 경영하게 하거나 지분을 매각하는 것)의 개념이 흔들리고 있다. 인천공항에서의 민영화는 이명박 정부가 공기업 선진화 정책에 따라 인천공항의 지분매각(49%)을 시도하면서 고착화됐다. 그런데 최근에는 모든 것에 민영화란 단어를 쓰고 있다. 최근에 불거진 것이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권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내년 2월 계약이 만료되는 한국관광공사의 면세점 사업권이 종료됨에 따라 국제입찰을 준비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달만 관세청과 면세점 입찰에 대해 협의하고 있다. 협의가 마무리되면 입찰공고를 붙여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그런데 그동안 인천공항 면세점 입점에 대해 아무 관심이 없던 관세청이 내규를 만들어 입찰까지 간섭하고 있다. 감시 감독권이 있.. 2012. 9. 4.
불투명 시트로 가린 인천공항 인천공항 여객터미널에는 통유리만 3만9000여개에 이른다. 통유리는 외부는 물론 내부도 볼 수 있고 여객터미널 내에 있는 유리도 모두 안과 밖을 볼 수 있도록 한 투명유리이다. 인천공항은 개항때 이 투명유리로 유명세를 탔다. 특히 보안구역이라 할 수 있는 입국장과 출국장도 투명유리로 설치되고 4층 식당가에서 면세점을 훤히 볼 수 있다. 중앙 밀레니엄홀과 여객터미널내 엘리베이터도 투명유리고 설치 돼 ‘누드 엘리베이터’로 불린다. 이는 그동안 ‘보안’ 등의 이유로 가렸던 벽을 투명유리로 설치해 밝고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다. 또한 인천공항에 입주한 20여개 정부기관의 투명행정과 서비스를 펼치겠다는 다짐이기도 했다. 그러나 보안기관들은 슬그머니 이 투명유리에 ‘불투명 시트’를 붙이기 시작했다. 언제 붙.. 2012. 8. 7.